창세기 19장 1-11절
1.저녁 때에 그 두 천사가 소돔에 이르니 마침 롯이 소돔 성문에 앉아 있다가 그들을 보고 일어나 영접하고 땅에 엎드려 절하며
2.이르되 내 주여 돌이켜 종의 집으로 들어와 발을 씻고 주무시고 일찍이 일어나 갈 길을 가소서 그들이 이르되 아니라 우리가 거리에서 밤을 새우리라
3.롯이 간청하매 그제서야 돌이켜 그 집으로 들어오는지라 롯이 그들을 위하여 식탁을 베풀고 무교병을 구우니 그들이 먹으니라
4.그들이 눕기 전에 그 성 사람 곧 소돔 백성들이 노소를 막론하고 원근에서 다 모여 그 집을 에워싸고
5.롯을 부르고 그에게 이르되 오늘 밤에 네게 온 사람들이 어디 있느냐 이끌어 내라 우리가 그들을 상관하리라
6.롯이 문 밖의 무리에게로 나가서 뒤로 문을 닫고
7.이르되 청하노니 내 형제들아 이런 악을 행하지 말라
8.내게 남자를 가까이 하지 아니한 두 딸이 있노라 청하건대 내가 그들을 너희에게로 이끌어 내리니 너희 눈에 좋을 대로 그들에게 행하고 이 사람들은 내 집에 들어왔은즉 이 사람들에게는 아무 일도 저지르지 말라
9.그들이 이르되 너는 물러나라 또 이르되 이 자가 들어와서 거류하면서 우리의 법관이 되려 하는도다 이제 우리가 그들보다 너를 더 해하리라 하고 롯을 밀치며 가까이 가서 그 문을 부수려고 하는지라
10.그 사람들이 손을 내밀어 롯을 집으로 끌어들이고 문을 닫고
11.문 밖의 무리를 대소를 막론하고 그 눈을 어둡게 하니 그들이 문을 찾느라고 헤매었더라
고대에 물을 매우 귀했습니다. 그래서 아비멜렉과 이삭이 우물을 두고 싸우기도 했습니다. 당시에는 물을 담아둘 방법이 없어 아침 저녁으로 물을 기르러 다녔습니다. 그런 상황 속에서 아브라함과 롯은 천사들에게 발 씻을 물을 주었습니다. 대부분의 사람들은 스스로 발을 씻지만 때로는 종이 발을 씻어주기도 했습니다. 발을 씻는 것은 그야말로 최고의 예우입니다. 더러운 것을 씻어내고 발의 피로를 풀기 때문에 마음을 상쾌하게 합니다. 아브라함이 장막 앞에 앉았던 것같이 롯도 소돔 성문에 앉아 있었습니다. 성문에 앉는 사람들은 그 성을 지도하고 이끄는 사람들입니다. 저녁 무렵 롯이 소돔 성에 앉아 있을 그 때에 천사들이 방문하였습니다. 롯은 천사들을 보호하기 위해 자신의 집으로 영접하였습니다. 천사들은 롯의 호의를 거절하면서 길에서 밤을 새겠다고 말합니다. 그러나 롯은 천사들에게 강권하였습니다. 소돔 성의 밤거리가 얼마나 위험한지를 알았기 때문입니다. 롯은 급하게 식탁을 준비하였기 때문에 무교병을 구웠습니다. 그리고 함께 음식을 나누었습니다.
이들이 잠이 들 시간이 되었을 때에 소돔의 먼곳에서 가까운 곳까지 노인부터 아이까지 롯의 집 앞에 모여들었습니다. 이들은 롯을 불러내어 밤에 온 사람들과 서로 ‘상관해야겠다’고 말했습니다. 소돔 사람을 뜻하는 Sodomy 오늘날 동성애를 뜻하는 말이 되었습니다. 소돔이 얼마나 성적으로 타락했는지 알 수 있는 말씀이 4절과 5절의 말씀입니다. 4.그들이 눕기 전에 그 성 사람 곧 소돔 백성들이 노소를 막론하고 원근에서 다 모여 그 집을 에워싸고 5.롯을 부르고 그에게 이르되 오늘 밤에 네게 온 사람들이 어디 있느냐 이끌어 내라 우리가 그들을 상관하리라
롯과는 반대로 아브라함은 어떤 모습으로 천사들을 영접했습니까? 창세기 18장 2-5 2.눈을 들어 본즉 사람 셋이 맞은편에 서 있는지라 그가 그들을 보자 곧 장막 문에서 달려나가 영접하며 몸을 땅에 굽혀 3.이르되 내 주여 내가 주께 은혜를 입었사오면 원하건대 종을 떠나 지나가지 마시옵고 4.물을 조금 가져오게 하사 당신들의 발을 씻으시고 나무 아래에서 쉬소서 5.내가 떡을 조금 가져오리니 당신들의 마음을 상쾌하게 하신 후에 지나가소서 당신들이 종에게 오셨음이니이다 롯도 천사들을 영접하고 잘 섬겼습니다. '그러나 '천사들을 보호하기 위하여 아직 결혼하지 않은 두 딸을 내어 주어 그들의 눈에 좋은 대로 행하라’고 말합니다. 이 순간 롯은 하나님을 의지하지 않고 악을 악으로 막으려고 했습니다. 롯은 소돔성에서 빛과 소금의 역할을 하지 못하고 그들의 삶에 이미 동화되고 말았습니다.
신앙인은 4가지 신앙 모델이 있습니다.
첫째는 차별입니다. 자신과 조금만 달라도 차별하고 외면합니다. 바리새인과 사두개인들이 그랬습니다.
둘째는 배타입니다. 자신과 다른 사람들을 박해하고 괴롭힙니다. 율법에 사로잡혔던 바울과 열심당원들이 그랬습니다
셋째는 동화입니다. 자신의 주변 사람들과 똑같이 변하는 것입니다. 우상숭배를 하는 이방인들과 동화된 이스라엘 백성들입니다.
넷째는 포용입니다. 자신과 다른 것을 인정하면서 상대방을 변화시킵니다. 예수님과 초대교회 성도들이 그랬습니다.
이 네 가지 삶의 모델이 곧 우리의 선교 전략입니다. 롯이 결혼하지 않은 딸들을 너의 눈에 좋은 대로 행하라고 한 것은 자기 눈에 이끌려 소돔에 동화된 결과입니다.
오늘날 우리는 롯처럼 오늘날 가족, 종교, 젠더, 성적 지향, 성 문제에 대해서 노출되어 있습니다. 동성애 문제는 오늘날 교회와 가정을 둘로 갈라놓을 기세입니다. 한쪽에서는 동성애자들을 옹호하고 다른 한쪽에서는 배척합니다. 젠더 문제는 남자와 여자를 크게 대립하게 만들었습니다. 종교는 진리가 아니라 소설이나 신화로 변질시켰습니다. 그러면 그럴수록 더 많은 청년들이 무속신앙과 오컬트 문화에 빠져들어가고 있습니다. 이러한 문화를 확산하고 사람들을 미혹하게 되면서 교회를 강하게 비판하는 이유입니다. 그것을 소돔과 고모라 사람들이 직접 고백하고 있습니다. 9.그들이 이르되 너는 물러나라 또 이르되 이 자가 들어와서 거류하면서 우리의 법관이 되려 하는도다 이제 우리가 그들보다 너를 더 해하리라 하고 롯을 밀치며 가까이 가서 그 문을 부수려고 하는지라
현재 우리나라는 기존의 민주화 운동이나 제도적 문제로 사회를 움직일 수 없게 되었습니다. 대신 청년들에게 새로운 화두를 가지고 접근했습니다. 남녀 문제와 차별금지 동성애와 같은 문제로 접근했습니다. 이런 모든 일들을 표현의 자유라고 항변합니다. 인간 내면에 숨어있는 악한 것들을 마음껏 표현할 수 있다고 말합니다. 그러나 악이 만연했던 모든 도시들은 역사의 뒤로 다 사라졌습니다. 소돔과 고모라, 폼페이, 로마가 그랬습니다. 심지어 아브라함의 조카 롯도 하나님의 은혜로부터 사라지게 되었습니다. 교회는 세상 속에서 섬겨야 하지만 세상과 동화되어서는 안됩니다. 많은 사람들이 ‘정교분리의 원칙’을 내세워서 교회를 차별하거나 배척하려고 합니다. 분명히 알아야 할 것은 하나님에 대한 신앙을 지키기 위해서 ‘정교분리의 원칙을 세웠다’는 사실입니다. 교회가 세상으로부터 신앙을 지켜야만 세상을 섬길 수 있 습니다. 발 씻을 물과 발을 씻어주는 수건과 대야보다 위대한 섬김은 없습니다.
예수님은 바리새인 시몬의 집에서 식사를 하셨을 때 마리아가 예수님의 발에 향유를 부어드렸습니다. 시몬은 이 모습을 보고 분노했습니다. 그러자 예수님께서 시몬에게 하신 말씀입니다. 눅7:44-47 44.그 여자를 돌아보시며 시몬에게 이르시되 이 여자를 보느냐 내가 네 집에 들어올 때 너는 내게 발 씻을 물도 주지 아니하였으되 이 여자는 눈물로 내 발을 적시고 그 머리털로 닦았으며 45.너는 내게 입맞추지 아니하였으되 그는 내가 들어올 때로부터 내 발에 입맞추기를 그치지 아니하였으며 46.너는 내 머리에 감람유도 붓디 아니하였으되 그는 향유를 내 발에 부었느니라 47.이러므로 내가 네게 말하노니 그의 많은 죄가 사하여졌도다이는 그의 사랑함이 많음이라 사함을 받은 일이 적은 자는 적게 사랑하느니라 우리 손에 맡겨 주신 일들로 세상을 품고 나가야 합니다. 그것이 하나님이 기뻐하시는 삶의 태도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