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세기 18장 1-15절
1.여호와께서 마므레의 상수리나무들이 있는 곳에서 아브라함에게 나타나시니라 날이 뜨거울 때에 그가 장막 문에 앉아 있다가
2.눈을 들어 본즉 사람 셋이 맞은편에 서 있는지라 그가 그들을 보자 곧 장막 문에서 달려나가 영접하며 몸을 땅에 굽혀
3.이르되 내 주여 내가 주께 은혜를 입었사오면 원하건대 종을 떠나 지나가지 마시옵고
4.물을 조금 가져오게 하사 당신들의 발을 씻으시고 나무 아래에서 쉬소서
5.내가 떡을 조금 가져오리니 당신들의 마음을 상쾌하게 하신 후에 지나가소서 당신들이 종에게 오셨음이니이다 그들이 이르되 네 말대로 그리하라
6.아브라함이 급히 장막으로 가서 사라에게 이르되 속히 고운 가루 세 스아를 가져다가 반죽하여 떡을 만들라 하고
7.아브라함이 또 가축 떼 있는 곳으로 달려가서 기름지고 좋은 송아지를 잡아 하인에게 주니 그가 급히 요리한지라
8.아브라함이 엉긴 젖과 우유와 하인이 요리한 송아지를 가져다가 그들 앞에 차려 놓고 나무 아래에 모셔 서매 그들이 먹으니라
9.그들이 아브라함에게 이르되 네 아내 사라가 어디 있느냐 대답하되 장막에 있나이다
10.그가 이르시되 내년 이맘때 내가 반드시 네게로 돌아오리니 네 아내 사라에게 아들이 있으리라 하시니 사라가 그 뒤 장막 문에서 들었더라
11.아브라함과 사라는 나이가 많아 늙었고 사라에게는 여성의 생리가 끊어졌는지라
12.사라가 속으로 웃고 이르되 내가 노쇠하였고 내 주인도 늙었으니 내게 무슨 즐거움이 있으리요
13.여호와께서 아브라함에게 이르시되 사라가 왜 웃으며 이르기를 내가 늙었거늘 어떻게 아들을 낳으리요 하느냐
14.여호와께 능하지 못한 일이 있겠느냐 기한이 이를 때에 내가 네게로 돌아오리니 사라에게 아들이 있으리라
15.사라가 두려워서 부인하여 이르되 내가 웃지 아니하였나이다 이르시되 아니라 네가 웃었느니라
과거 6․25전쟁에 참전한 국군 영상이 있습니다. 지금 보면 모두 20세 전후의 젊은이들인데 군대밥을 먹으면서 그렇게 해맑을 수가 없습니다. 당장 내일을 알 수 없는데도 카메라를 보면서 연신 활짝 웃습니다. 우리나라 사람들은 웃음을 좋아합니다. 웃으면 복이 온다는 말이 있습니다. 소문만복래라는 말이 있습니다. 웃을소, 문문, 일만만, 복복, 올래, 웃으면 복이 온다는 뜻입니다. 화목하고 웃음이 많은 집은 복이 들어온다는 뜻입니다. 박장대소라는 말도 있습니다. 칠박, 손바닥장, 큰대,웃을소 박수를 치면서 크게 웃는다는 뜻입니다. 배를 잡고 데굴데굴 구르며 웃는 포복절도가 있습니다. 이런 절도는 좀 많아지면 좋겠습니다. 사람의 감정은 희노애락이 동시에 나타나기도 합니다. 안동 하회탈은 그러한 인간의 해학을 담고 있어서 유명합니다. 안동 하외탈은 말합니다. “내가 웃는 게 웃는 게 아니야~” 역설적이게도 힘들고 어려울 때 웃음이 필요합니다. 지치고 피곤할 때 여유있는 웃음은 활력소가 됩니다. 우리 민족이 해학을 좋아하는 이유도 삶이 힘들었기 때문입니다. 행복해서 웃을 수도 있지만 웃기 때문에 행복할 수도 있습니다. 웃으면 실제로 우리 몸을 건강하게 하는 엔돌핀이 나옵니다. 일부러 15초간 웃으면 100미터를 달리는 것과 같은 효과가 있다고 합니다. 한 번 웃으면 한 번 젊어지고, 한 번 화내면 한 번 늙는다고 합니다. 아이들은 하루 400번 웃는데 어른은 하루 6번 웃는다고 합니다.
웃음의 관점에서 생각해보면 아브라함의 가정은 매우 밝고 건강하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하나님은 아브라함에게 "네가 내년 이맘 때에 사라가 아들을 낳을 것"이라고 말씀하셨습니다. 그러자 아브람은 하나님 앞에 엎드려 웃었습니다. 아브람은 “백세 된 사람이 어찌 자식을 낳을까 사라는 구십 세니 어찌 출산하리요” 생각하고 웃었습니다. 자신들의 현실에 맞지 않는 하나님의 말씀에 웃고 말았습니다. 같은 상황이라도 어떤 이는 화를 내고, 어떤 이는 슬프고, 어떤 이는 절망합니다. 하나님은 아브람에게 믿음을 바라셨지만 그렇지 못해서 나타난 반응입니다. 그런데 멜빌이라는 사람이 웃음에 대한 명언을 남겼습니다. “무엇이든 이상한 일과 부딪치면 웃는 것이 가장 현명하고 신속한 응답이며 어떤 처지에 부딪쳐도 비장한 위안이 된다.” 아브라함의 웃음은 온전한 믿음을 가지기 못했을 때 취할 수 있는 가장 현명한 태도였는지도 모릅니다. 그러나 아브람은 하나님이 말씀을 따라 백세 된 몸에 할례를 받았습니다. 고대의 할례는 매우 위험한 의식이었지만, 집안의 모든 남자들이 받았습니다.
오늘 말씀은 그 이후에 일어난 일입니다. 오늘날 중동지역에는 “손님은 신이 보낸 사람이다”라는 속담이 있습니다. 중동지역에서 손님접대는 아주 중요한 믄화유산입니다. 이러한 문화의 배경에는 오늘 말씀 창세기 18장이 있습니다. 아브람이 마므레 상수리나무가 있는 장막 앞에 앉아 있었습니다. 그런데 사람 셋이 장막 맞은편에 서 있었습니다. 성경에서 셋은 결정적이며 최종적인 숫자입니다. 복수의 숫자인 셋은 보통 다니엘과 세친구, 욥의 세친구, 예수님의 세 제자와 같이 사용됩니다. 오늘 본문에는 세 사람이 등장합니다. 아브라함은 즉시 이 세사람 앞에 달려가 엎드려 영접합니다. 세계 어디서나 손님 접대에 대한 관습이 있습니다. 이번 성주의 결혼식에도 많은 하객들이 왔는데 혼주는 하객을 예우하며 하객은 혼주를 축하하는 것이 예입니다. 눈에는 눈 이에는 이라는 ‘동해보복법’은 은혜도 마찬가지입니다. 은혜를 입었으면 은혜를 갚는 것입니다. 그래서 아브라함이 3절 이하의 말씀을 합니다. 3.이르되 내 주여 내가 주께 은혜를 입었사오면 원하건대 종을 떠나 지나가지 마시옵고 4.물을 조금 가져오게 하사 당신들의 발을 씻으시고 나무 아래에서 쉬소서 5.내가 떡을 조금 가져오리니 당신들의 마음을 상쾌하게 하신 후에 지나가소서 당신들이 종에게 오셨음이니이다 그들이 이르되 네 말대로 그리하라
아브라함은 사자들에게 하나님의 은혜를 갚고자 했습니다. 이후에 아브라함은 손님을 접대하기에 힘쓸 때가 날이 매우 뜨거울 때였다는 것을 생각해야 합니다. 아브라함은 손님 접대에 가장 중요한 일을 직접 담당했습니다. 6.아브라함이 급히 장막으로 가서 사라에게 이르되 속히 고운 가루 세 스아를 가져다가 반죽하여 떡을 만들라 하고 먼저 사라에게 고운 가루 세 스아를 직접 가져다가 반죽하여 빵을 만들라고 말했습니다. 세 스아는 식빵 90개를 만들 정도의 분량입니다. 또한 좋은 송아지를 직접 잡아서 하인에게 주었습니다. 그리고 엉긴 젖과 우유를 가지고 왔습니다. 아브라함의 고향인 갈대아 우르는 당시 세계 최대 치즈 생산지였습니다. 토기에 담긴 우유를 저으면 우유가 엉기면서 치즈가 되었습니다. 치즈는 우유를 상하지 않고 오래 보관할 수 있어서 신령한 음식으로 생각했습니다. 그래서 치즈는 부활을 기다리는 사람들의 음식으로 생각하기도 했습니다. 이들은 아브라함이 준비한 음식을 먹고 마셨습니다. 그리고 난 뒤 아브라함에게 사라의 행방을 물어보았습니다. 지금과 달리 과거에는 손님을 접대하는 자리는 귀한 정보와 소식을 들을 수 있었습니다. 그래서 사라는 장막 문 앞에서 이들의 말을 듣고 있었습니다. 10.그가 이르시되 내년 이맘때 내가 반드시 네게로 돌아오리니 네 아내 사라에게 아들이 있으리라 하시니 사라가 그 뒤 장막 문에서 들었더라 11.아브라함과 사라는 나이가 많아 늙었고 사라에게는 여성의 생리가 끊어졌는지라 12.사라가 속으로 웃고 이르되 내가 노쇠하였고 내 주인도 늙었으니 내게 무슨 즐거움이 있으리요
사라도 아브라함과 같이 웃음으로 반응을 보였습니다. 그런데 사자들이 있었기 때문에 속으로 웃었습니다. 아브라함과 사라는 하나님과 현실 사이에서 웃었습니다. 이는 이해할 수 없고 믿을 수 없는 자신의 마음을 솔직히 나타낸 웃음입니다. 우리도 사라처럼 하나님이 하시는 일을 모두 알 수 없습니다. 지금도 “우리가 어떻게 북한에 가서 복음을 전할 수 있겠습니까?”라고 웃을 수도 있는 것입니다. 방법을 모르는 우리는 웃을 수 밖에 없습니다. 그러나 하나님은 미래를 아시며 동시에 사람의 생각을 아십니다. 하나님은 때가 이르러 반드시 일을 이루시고 성취하십니다. 사라는 이 일이 하나님으로부터 말미암은 것이라는 것을 생각하자 두려워졌습니다. 13.여호와께서 아브라함에게 이르시되 사라가 왜 웃으며 이르기를 내가 늙었거늘 어떻게 아들을 낳으리요 하느냐 14.여호와께 능하지 못한 일이 있겠느냐 기한이 이를 때에 내가 네게로 돌아오리니 사라에게 아들이 있으리라 15.사라가 두려워서 부인하여 이르되 내가 웃지 아니하였나이다 이르시되 아니라 네가 웃었느니라 “사라가 두려워서”라는 말인 야레는 경외하다라는 뜻입니다. 이는 하나님의 능력을 깨닫고 그 말씀에 즉각 순종하는 것을 뜻합니다. 그러나 웃은 것은 웃은 것입니다. 우리는 현실의 높은 장벽과 믿음이 만나면 웃음과 두려움이 동시에 교차합니다. 그러나 믿음을 통해서 참된 웃음을 찾게 됩니다. 우리의 웃음과 기쁨은 하나님께로부터 옵니다. 시편 126편 5-6절의 말씀입니다. 5.눈물을 흘리며 씨를 뿌리는 자는 기쁨으로 거두리로다 6.울며 씨를 뿌리러 나가는 자는 반드시 기쁨으로 그 곡식 단을 가지고 돌아오리로다